Programing/정보처리기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결선 게이트 (Wired Gate) 결선 게이트(Wired Gate)는 능동 소자(트랜지스터, 다이오드 등)를 이용하지 않고도 특수한 논리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게이트인데, 게이트들의 출력 단자들을 직접 연결한 자체가 많은 논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. 더보기 (정보처리기사) 명령어 명령어 ( Instruction ) 은 IR(OPR)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. 명령어의 구성은 Operation Code부와 Operand부로 나뉘는데요 연산자(Operation Code) 부 자료(Operand) 부 연산자부에서는 실제 명령어가 들어갑니다. 그러니 ADD(103,102) 이면 연산자 부에는 ADD가 들어가는 셈입니다. 그리고 자료부에는 103,102 데이터의 주소가 들어가게 됩니다 ^^ 열공하십쇼! 더보기 (정보처리기사) 레지스터 PC 더보기 (정보처리기사) 코드의 분류 가중치 코드 - BCD(8421) 코드 , 2421 코드, Biquinary 코드, 51111 코드 비가중치 코드 - Excess-3코드 Gray 코드, 2 out-of 5코드 자기 보수 코드 - Excess-3 코드, 2421코드, 51111 코드 오류검출용 코드 - Hamming코드, 패리티 검사 코드, Biquinary 코드, 2out-of 5코드 더보기 fan-in 소프트웨어 구조와 관련된 용어로, 주어진 한 모듈(module)을 제어하는 상위 모듈 수를 나타내는 것은? Fan-in!! 더보기 운영체제 HRN 알고리즘 공식 우선순위 공식 대기시간 + 수행시간 / 수행시간 더보기 정보처리기사 Selection sort 멋지게 틀렸네요 ㅋㅋ Selection sort 란 선택 정렬? 이런데요 일단 처음에 8 3 4 9 7 이 있으면 8과 3 4 9 7 중에 제일 낮은 숫자와 비교를 합니다. 이게 Pass1인거 같네요 3 4 9 7 중에 제일 낮은 숫자가 3이니까 8과 3을 비교 하겠죠? 3이 더 작으니 바꿔줍시다 3 8 4 9 7 그럼 이렇게 바뀌겠죠? 그럼 이제 3은 무시하고 8 4 9 7 을 봅니다 그리고 8을 선택해서 4 9 7 중에서 가장 낮은 숫자와 비교 합시다 4가 가장 낮으니 선택하고 8과 4를 비교하면 4가 더 작으니 또 두수를 바꿔줍니다. 그러면 3 4 8 9 7 이 되네요 그럼 여기서 3, 4는 놔두고 8 9 7 에서 8을 선택후 가장 작은 수인 7과 비교를 한후 또 바꺼 줍니다. 그럼 3 4 7 8 .. 더보기 (정보처리기사) 2진 연산 2진 연산 10진수 전체값을 2진수르 변환하여 표현하는 방식 n Bit 크기의 워드가 있을 때 처음 1Bit는 부호비트로 사용 되고 나머지 n-1 Bit에 2진수로 표현된 정수값이 저장 됨 부호와 절대값 부호와 1의보수 부호와 2의보수 부호와 절대값과 부호화 1의보수는 +0 ,-0이 생겨버림 부호와2의보수는 -0이 없음. 더보기 (정보처리기사) 자료의 내부적 표현 (10진연산) 1. 정수(고정 소수점) 1) 10진 연산 2진수는 2진순데 10진수로서 표현함 12 - > 0001 0010 (2진수) 1 2 10진연산에서는 +와 -를 16진수 C와 D로 표현함 + ---> C(1100) - ---> D(1101) -Unpack 컴퓨터에서 입출력에 쓰임 숫자를 구분해서! Zone형이라고도 불림 -Pack 컴퓨터에서 연산에 사용됨. 325를 Unpack 형과 Pack 형으로 표현하라 Pack 형 325D UnPack 형 F3 F2 D5 (뒤쪽에 부호 D) -624? Pack형 624D UnPack형 F6 F2 D4 더보기 (정보처리기사) 보수 ( 컴퓨터에서 뺄셈 연산 ) 컴퓨터에서는 감산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 가산기만 존재합니다. 그래서 가산기를 이용해서 뺄셈을 합니다 보수를 이용한 뺄셈 8-3=5 8 : 1000 3 : 0011 1의 보수를 이용한 가산 1000 1000 - 0011 --------------------> +1100 (아래 피연산자를 보스로 변경 Not회로(Complement) 이용) (1)0100 자리올림수 1을 뒤로 가져와서 한번 더 더합니다. 0100 + 1 ------ 101 =5 2의 보수를 이용한 가산 (1의보수보다 연산 효율이 높음) 1000 1000 1000 -0011 --------------->+1100 -------------------->+1101 (피연산자를 보수로 변경) (그 보수에 +1을함 ) ------- 10101 더보기 이전 1 2 다음